3-1공부/일반심리학

기말4] 12. 정서, 스트레스 및 건강

KGW2027 2022. 6. 1. 23:48
728x90
반응형

정서란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정의하기 어렵다.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정서의 핵심적 요소는 '느낌'이다. 심리학자들은 정서를 인지, 생리, 감정 및 행위의 조합으로 정의한다.


1. 정서

  • 정서 측정
    1. 자기보고
    - 명명척도 : 기분이 좋음, 안좋음, 상쾌함 등 주관식
    - 서열척도 : 매우 좋음 / 좋음 / 보통 / 안좋음 / 매우 안좋음 과 같이 위아래만 알 수 있다.
    - 등간척도 : 0 / 10 / 20 / 30 / ... / 100 과 같이 정확히 수치적으로 똑같은 차이가 난다. +-는 가능, */는 불가능
    - 비율척도 : 등간척도에서 비율까지 적용, 0이 완벽한 영점을 수행, +-*/가 모두 가능하다.
    2. 행동관찰
    - 얼굴 표정에서 나타나는 미세 표현(Microexpression)을 통해 알아낸다.
    - 미세표현은 매우 짧은 시간동안 나타나는 갑작스러운 정서표현으로, 통제하기 어렵다.
    3. 생리적 측정
    - 자율신경계의 교감/부교감 신경계의 활동을 통해 측정한다.
    - 교감 신경계는 비상사태를 대비해 몸을 각성시키는 것으로, 심장박동, 호흡, 땀 등을 활성화한다.
    - 부교감 신경계는 일반적인 상황의 기능들을 촉진시킨다.
    - 그러나, 생리적 측정으로는 정확히 어떤 정서를 느끼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 James-Lange 이론
    - 자극정보를 해석했을 때, 행동이 먼저 나타나고, 이 행동에 대한 지각이 정서가 된다.
    - 상황 -> 해석(정서의 인지) -> 행동(생리적, 행동적) -> 행동의 지각(정서의 느낌)
    - 순수 자율신경 기능 상실 : 자율 신경계가 신체 장기들을 조정하지 못한다.
     위의 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사람은 반응이 약하므로 정서적 느낌도 약해야하고, 이를 지지하는 결과가 나왔다.
    - 신체반응을 유도하는 경우, 해당 행동과 대응되는 정서 반응이 약간 촉진된다.
    - 그러나, 정서 반응에 신체 반응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말은 아니다.
  • Schachter & Singer 정서 이론
    - 자율신경계의 각성정도는 정서의 강도와, 상황의 해석은 정서의 유형과 관련이 있다.
    - 위기 상황에서 더 사랑에 빠지기 쉽다. 같은 것을 지지할 수 있는 이론.

2. 기본 정서

  • 기본 정서들을 조합해서 모든 정서들을 표현할 수 있는 기본 정서가 존재하는가?
  • 기본 정서의 조건
    - 생의 초기부터 나타나야한다.
    - 문화에 걸쳐 유사해야한다.
    - 각 기본 정서는 고유한 표정과 생리적 반응을 갖고 있어야 한다.
  • 듀센 웃음 ( Duchenne smile ) : 눈 주변의 근육까지 포함된 함박웃음
    - 자의적으로 만들기 힘든 진짜 웃음으로, 자의적으로 만든 웃음은 일반적으로 눈 주변 근육을 움직이지 못한다.
  • 얼굴 표정의 이해
    - 문화에 걸쳐 비슷한 표정에 대해 비슷한 감정을 선택하는 것에서, 학습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다.
    - 그러나, 표정만 봤을때와 포즈 등 전체적 맥락을 봤을 때의 해석이 다르다.
    - 또한, 만약 각 표정에 대한 객관적 선택지가 없다면 응답은 더 넓게 분포될 것이다.
     -> 기본 정서를 확정할 수 없다.
  • 하나의 정서 표현을 한 단위로 간주하기 보다, 따로 발생하는 부분들의 조합으로 생각할 수 있다.

3. 정서의 유용성

  • 정서가 어떤 판단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대부분 냉철한 판단이 정답이라고 생각한다.
    -> 정서가 최고의 판단을 하는데 방해된다고 생각함.
  • 확장 및 축적 이론 (Broaden and build hypothesis)
    - 긍정 정서/행복한 기분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회를 탐색하는 준비성을 증가시킨다.
  • 도덕추론
    - 전차딜레마 : 전차가 레일을 따라가면 5명을 친다. 앞의 레버를 당기면 옆 선로로가서 1명만 친다. 레버를 당길 것인가?
    - 육교딜레마 : 전차가 레일을 따라가면 5명을 친다. 눈앞의 한 명을 밀어서 선로로 떨어트리면 앞의 5명은 살 수 있다. 앞의 사람을 밀 것인가?
    - 5명을 살리기 위해 1명을 포기하는 것은 정서적으로 긍정적이다.
    - 5명을 살리기 위해 직접 1명을 죽이는 것은 정서적으로 부정적이다.
  • Gage의 사례
    - 쇠막대가 머리를 관통하고 살아남은 Gage는, 정서를 보이지 않고, 충동적인 행동을 했다.
  • Elliot의 사례
    - 뇌종양 제거 수술중 이마앞겉질에 손상을 입었다. 이후 뇌수술과 그로 인해 망가진 인생 등에 대해 다른 사람을 이야기 하듯이 무심하게 이야기 했다. 또한, 선택지들에 대해 논의는 할 수 있었지만 결정은 내리지 못했다.
  • 위의 두 사례들을 통해, Damasio는 의사결정의 손상은 취약한 정서로 인해 발생함을 주장했다.
    - 정서가 없는 판단은 합리적 사고를 통해 결정을 도출하기는 하였으나, 그 결과가 늘 옳지는 않았다.
    - 즉, 그 결정으로 인해 뒤에 긍정적 결과가 올지 부정적 결과가 올지 등은 고려하지 않았다.
    - 만약 정서가 없다면, 어떤 선택지를 골라도 자신에게는 아무 상관이 없기 때문이다.
  • 정서지능 ( Emotional Intelligence ) : 정서를 지각, 상상, 이해하고 그 정보를 의사결정에 사용하는 능력
    - 개념에 대한 증거가 없다

4. 정서의 개관

  • 불안 ( Anxiety ) : 놀람 반사의 증가
    - 공포나 불안은 편도체의 활동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 편도체의 반응이 높은 사람은 정서적으로 불쾌한 경험을 더 많이 보고한다.
    - 편도체가 손상된 사람들은 PTSD를 겪지 않는다.
  • 거짓말 탐지기 : 혈압, 심장박동, 호흡, 피부의 전기전도율 등을 측정해 기록해 거짓말을 탐지한다.
    - 거짓말 탐지기의 실험에서, 유죄 용의자의 거짓말을 76% 찾아냈다.
    - 그러나, 무죄 용의자의 37%도 거짓말로 탐지했다.
     -> 신뢰도가 낮다.
    죄의식검사 : 거짓말 탐지기의 질문 방법으로, 범죄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에게만 위협적인 질문을 한다.
    - 범인만 알고 있는 정보를 질문하거나, 시간순서를 역으로 질문하거나 하는 등..
    - 유죄 용의자의 거짓말을 완벽히 탐지하기는 어렵지만, 무죄 용의자의 무고는 거의 줄일 수 있었다.
  • 혐오 ( Disgust ) : 기분을 상하게 만드는 것들에 대한 반응
  • 경멸 ( Contempt ) :  우리 사회의 기준을 위반하는 것에 대한 반응
  • 긍정 심리학
    - 무엇이 사람을 행복하게 만들까?
    1. 돈
     자신을 행복하게 할 수 있는 돈의 양 / 목표가 계속 커지므로, 돈의 양이 행복과 비례하지는 못했다.
     부의 격차/불평등이 심할수록 행복이 줄어들었다.
     GDP가 높은 국가의 국민이 삶의 만족도가 더 높다고 평가했으나, 주관적 지표이므로 큰 의미는 없음.
    2. 유전적 소인
     모든 행동/작용에는 유전적 소인이 있다.
     더 행복한 가정, 더 우울한 가정 등이 유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3. 외모
     외모와 행복의 상관관계는 적다
    4. 인간관계
     주변에 행복한 사람이 많을수록 본인도 행복하다. ( 행복은 전염된다 )
    - 행복 증진법
    자연을 걷거나, 동아리를 가입하고, 공부습관을 시작하는 등, 행동을 바꾸는 것이 큰 행복증진을 줄 수 있다.
  • 슬픔
    - 울고나면 개운해진다는 말을 많이 하는데, 실제로는 울지 않은 경우보다 울고 난 경우에 더 우울하다.
728x90
반응형

'3-1공부 > 일반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말범위]  (0) 2022.06.20
기말3] 10. 의식  (0) 2022.06.01
기말1] 9. 지능/지능검사  (0) 2022.05.25
기말1] 8. 인지와 지각  (0) 2022.05.23
7장 기억  (0) 2022.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