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공부/생리심리학 7

[기말고사] 11장. 인지신경과학

· 용어 프리뷰 용어 의미 편재화 (Lateralization) 뇌의 특정 기능들이 한쪽 반구에 더 집중되어 있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언어처리는 왼쪽 반구에 더 집중되어있다. 양분청취실험 참가자가 두 귀로 서로 다른 소리를 동시에 듣는 실험이다. 뇌의 편재화 관점에서 이 실험은 오른쪽 귀 우세성을 보여준다.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 보상과 처벌에 대한 반응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BAS는 긍정적 결과에 대한 동기 부여 촉진, 좌반구 이마엽 활동성 증가. BIS는 부정적 결과를 피하려는 행동 촉진, 우반구 이마엽 활동성 증가의 상태를 가진다. 윌리엄스 증후군 정상적인 지능을 가지지만, 언어 학습률이 낮아 언어적 표현, 그림 등에 어려움을 가진다. 언어학습 정도와 지능이 항상 상관되..

[기말고사] 10장. 학습과 기억

9장에 비해 넣을만한 사진자료가 적어 글밖에 없는게 큰일... · 용어 프리뷰 용어 의미 가소성 (Plasticity) 수정 가능성을 의미한다. 시냅스 가소성은 '시냅스가 세포 수준이나 분자 수준에서 변하는 능력'을 의미한다.(위키백과) 시냅스 효율성 시냅스가 같은 입력에 대해 얼마나 많은 출력을 만들어 낼 수 있는가?를 의미한다. 쉽게, (시냅스 효율성) * (입력) = (출력) 이라고 생각하면, 효율성이 클수록 출력이 크다는 걸 알 수 있다. 신경전달물질 (Neurotransmitter, NT) 시냅스와 시냅스 간 국소적인 전달을 수행하는 신경화학물질이다. 습관화 신경계가 반복되는 자극에 대해 반응을 줄이는 과정을 의미한다. 민감화 반복적이거나 강력한 자극에 대해 반응이 강화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장..

[기말고사] 9장. 수면과 각성

· 용어 프리뷰 용어 의미 내인성 주기 (Endogenous Cycle) 신체의 활동, 비활동의 주기 (일년율, 일주율, 초일주율 등이 있다.) 생체시계 (Biological Clock) 신체는 시간의 흐름을 몰라도 일정한 내인성 주기를 갖는데, 이게 가능하기 위한 기제 시각교차위핵 (Suprachiasmatic Nucleus, SCN) 좌시신경과 우시신경이 교차하는 지점(시각교차)의 위에 존재하는 부위. 주간에 활동하며 교감 신경계 활동을 일으키고 솔방울샘에 영향을 준다. 내재 감광성 망막신경절세포 (Intrinsically Photosensitive Retinal Ganglion Cell, ipRGC) 뇌 깊숙한 곳에 위치한 SCN에서 빛을 감지하기 위한 세포. 멜라놉신이라는 광색소를 함유하여 빛의 ..

[중간고사] 4장. 정신약리학

1. 신경화학물질이란? 신경화학물질(NeuroChemicals)은 한 세포에서 분비되어 목포 세포에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 다음의 세 기준을 만족해야한다. - 시냅스 전 세포 내에 존재해야한다. - 시냅스 전 탈분극화에 대한 반응으로 분비된다. - 시냅스 후 세포에 있는 수용체와 반응한다. 신경화학물질은 범위에 따라 아래의 세 범주로 나뉜다.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 결선 전달을 수행한다. ( 국소적인 전달을 수행 ) - 저분자 신경조절물질(NeuroModulator) 부피 전달을 수행한다. ( 주변 여러 시냅스 / 세포에 전달을 수행 ) - 신경펩티드 신경호르몬(NeuroHormone) 혈류를 타고 몸 전체에 퍼진다. 이러한 범주를 세분화하면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다. 크기 이름..

[중간고사]3장 - 신경계 세포의 구조 & 기능 (WIP)

신경계는 뉴런(Neuron, 신경 세포)와 아교세포(Glia, 교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아교세포] : CNS의 80~90%를 차지하는 뉴런을 지원하는 세포이며,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는 정보를 처리하기도 한다. 1. 별아교세포(Astrocyte) : 뇌에서 가장 흔한 세포로, 뉴런을 품는 구조적 바탕질 역할을 한다. 모세혈관 세포와 긴밀히 연결되어 NU(Neurovascular Unit, 신경혈관단위)를 형성하고, 혈류 속 영양분을 뉴런으로 옮겨 준다. 또한, 모세혈관 바깥 표면을 덮어 혈액 속 독성 물질이 뇌로 침투하는 것을 막는다. 뉴런이 죽으면 그 페기물을 제거하고, 빈 자리를 채운다. 2. 뇌실막세포(Ependymal Cell) : 뇌실과 척수 중심관 벽에 깔려있는 세포이다. 맥락얼기에서 생성된..

[중간고사] 2장 - 기능적 신경 해부학

[기본 용어] ◇ 해부학적 방향과 절단면 - 사족보행 동물은 뇌와 척수가 한 방향으로 흐르는 것과 달리, 인간은 뇌와 척수의 방향이 수직이다. 이로 인해, 뇌를 기준으로 봤을 때와 척수를 기준으로 봤을 때가 다르다. (사족보행 동물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편하다.) 3차원 방향은 [앞, 뒤] [위, 아래] [가(손가락쪽), 안(척수쪽)] 으로 부른다. ◇ 뇌의 구조 두피 아래에 머리뼈(두개골)이 있고, 그 아래에 단단한 경막이 있고, 그 아래에 거미막(지주막)이 잇다. 거미막밑공간(지주막하강)은 뇌와 거미막 사이의 공간을 만들어 주며, 이곳에 CSF(뇌척수액)이 위치한다. 그러고도 연막(유막)이라는 막으로 한번 더 감싸져있다. CSF는 뇌실벽의 맥락얼기(Choroid Plexus)에서 만들어진다. ..

[중간고사] 1장 - 행동신경과학

행동신경과학 "생물학적인 배경을 가지고 심리학의 주제에 접근하는 분야" by Wikipedia 연구 방법 1. 현미경을 통한 관찰 - 광학현미경 ( 1mm ~ 100nm 관찰 가능 ) - 전자현미경 ( 1mm ~ 1nm 관찰 가능 ) - 형광현미경 ( 대상에 형광물질을 넣어 관찰 ) 2. 영상화 - CT ( 컴퓨터 단층 촬영 ) : X선을 투과시켜 흡수 차이를 컴퓨터로 재구성 - MRI ( 자가공명 영상 장치 ) : 강한 자기장을 가진 초전도 자석에 들어가 공명을 통해 관찰 - PET (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 : 양전자를 방출하는 물질을 체내 주입 후, 단층 촬영기로 관찰 3. 기록법 - fMRI ( 기능적 자가공명 영상 ) : 혈류와 관련된 변화를 감지하여 뇌 활동을 측정하는 기술 - DTI (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