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공부/건축구조학
기말1] PC공법
KGW2027
2022. 6. 5. 23:21
728x90
반응형
PC 공법 ( Precast Concrete Construction )
PC 공법이란
현장 이외의 장소 (공장 등)에서 제조된 철근콘크리트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부재를
현장에 반입하여 조립하는 공법의 총칭이다.
1. PC공법의 특징
- 일반적 시공 순서
[ PC 설계 ]
→ [ 몰드 제작 및 세팅 ] → [ 검사 ]
→ [ 철근 배근 및 부속물 매입 ] → [ 검사 ]
→ [ 콘크리트 타설 ] → [ 양생 ] → [ 완성 및 검사 ] // 양생 : 콘크리트 타설 후 완전히 굳을 때 까지 보호하는 작업
→ [ 야적 및 출하 ] - PC 공법의 종류
- 골조식 구조
- 기둥, 보, 도리 등의 축부를 부품으로 하고 현장에서 조립한다.
바닥은 중형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축부( 軸部 ) : 기둥 구조
※ 도리 : 지붕의 힘을 기둥에 전달하는 부분 - 벽식 구조
- 중형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폭이 60cm ~ 1m 전후이며, 길이 3m 정도의 룸사이즈 PC패널을 사용한다.
- 대형 : 벽식 철근콘크리트구조의 바닥, 벽, 지붕을 룸사이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로 분할제조한다.
- 입체 유닛형 : 벽식구조의 바닥, 벽을 일체로 PC화하여 적층조립한다. - 골조구조와 벽식구조의 병용
- 보와 벽, 도리와 벽을 일체화하여 PC부품으로 한다.
- 골조식 구조
- PC공법의 장단점
- 장점
- 생산성 향상
- 기계화, 자동화에 의한 품질 향상
- 기후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음
- 생산 오차 범위 축소
- 다양한 외관 및 질감
- PS 도입으로 인한 단면 감소와 공간 확보
- 현장 작업의 간소화
공사관리 용이, 공기단축, 동절기 시공 가능, 책임소재 명백, 설비공사 등의 현장공사 축소 - 단점
- 설계 상의 제약
- 이중 운반
- 기능 인력의 수급
- 초기 시설투자가 큼 - 각종 공법간 비교
- 장점
현장타설 (RC) | 완전 PC (공업화 PC) | 부분 PC (복합화) | |
가격 | 저가 | 고가 | 중간 |
품질 | 낮다 | 높다 | 중간 |
공기 | 길다 | 짧다 | 중간 |
일체성 | 유리 | 불리 | 중간 |
유연성 | 유리 | 불리 | 중간 |
차폐 성능 | 좋다 | 나쁘다 | 중간 |
생산방식 | 주문생산 | 소품종 대량 생산 | 다품종 소량 생산 |
안전성 | 낮다 | 높다 | 중간 |
공사규모 | 소규모 | 대규모 | 대규모 |
- PC의 분류
- 규격화의 여부
- Open 시스템 : 각 부품들을 MC화 하여 적절히 선택, 조합하여 건축물을 구성한다.
- Close 시스템 : 사전에 건축물의 특성에 맞게 계획하여 부품을 제작해 구성한다.
※ MC : Modular Coordination, 건축물의 구성치를 결정하는데 적용하는 일반 원칙 - 접합 방식
- 습식 접합 : 접합 부위에 철근·철판을 용접하거나, 콘크리트·모르타르를 충전하여 고정한다.
- 기계적 접합 : 볼트나 인서트에 의해서 접합, 시공상의 정밀도를 요한다.
- 규격화의 여부
2.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는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이 작은 콘크리트에,
미리 긴장재를 이용해 압축력을 가해두고
하중을 받았을 때 콘크리트에 생기는 인장응력을 제거하도록 고안된 구조 시스템이다.
- 철근콘크리트에서, 압축력은 콘크리트가 부담하고 인장력은 철근이 부담한다.
그러나, 인장력에 견디고 있는 철근 주위의 콘크리트에는 인장응력이 발생하여 균열이 생긴다. - 프리스트레싱 방법
- 프리텐션(Pre-tension)
- PS 강재에 미리 인장력을 가한 후,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킨다.
- 인장력이 PS 강재와 콘크리트의 부착력에 의해 전달되므로, 시스 및 정착장치 등이 필요없다.
- PS 강재를 곡선형태로 배치하기 어려워, 대형 부재 제작이 어렵다. - 포스트텐션(Post-tension)
- 콘크리트 타설 전 미리 얇은 관(시스)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킨다.
- 콘크리트가 경화된 뒤 PS 강재를 삽입한 후 인장력을 주고 양 쪽 단의 정착장치에 고정시킨다.
- 이후 PS 강재를 넣은 시스에 모르타르를 그라우팅해야 한다.
- 대형 부재의 생산에 사용되고, 현장 제작도 가능하다.
- 프리텐션(Pre-tension)
3. 콘크리트의 줄눈
줄눈은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균열에 대한 대책이다.
균열은 콘크리트의 온도변화에 의한 팽창, 수축 혹은 부동침하, 진동 등에 의해 발생한다.
- 조절줄눈
- 균열이 일정하게 생기도록 유도하는 줄눈 - 분리줄눈 (= 신축줄눈)
- 온도변화, 건조수축, 기초침하 등에 의해 발생하는 변위를 수용하기 위해
균열발생이 예상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줄눈이다. - 지연줄눈
-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최소화 하기 위해,
초기수축 이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부위(수축대)를 만든다. - 시공줄눈
- 시공과정 상 발생하는 줄눈으로, 콘크리트를 한 번에 타설하기 힘들때 생기는 계획된 줄눈. - 콜드조인트(Cold Joint)
- 콘크리트 타설 중, 경화가 시작된 콘크리트에 타설하여 발생하는 줄눈이다.
- 콜드조인트는 내구성 저하 및 중성화의 원인이 되므로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