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심리학의 역사
심리학의시초 - Wilhelm Wundt(빌헬름 분트)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을 설립한 사람. (1879)
실험자에게 내성(introspection)을 통해 스스로의 내부를 들여다 보라고 함. -> 내성법
구조주의
분트의 제자인 Edward Titchener(에드워드 티치너)는 이런 내성법이 완전히 주관적이라, 서로 다른 내성에 대해 누가 더 올바른지 증명할 수 없다고 생각했음. 그렇기 때문에 과학적인 연구 방법으로 사용도 불가능.
구조주의에서는 마음을 구성하는 구조들, 감각, 느낌, 심상 같은 것들을 밝히려고 했음. 하지만 이또한 보고가 정확한지 증명할 방법이 없으므로 티치너가 사망한 뒤 사라짐.
기능주의
이 시기에 William James(윌리엄 제임스)는 마음이 무엇인가? 보다 마음이 무엇을 하는가? 에 초점을 맞춤.
제임스는 자신만의 연구는 거의 하지 않았음. 그러나 후대의 연구자들에게 떡밥을 줬다는 의미가 있음.
행동주의
1920년대가 되자 John B. Watson(존 왓슨)이라는 사람이 행동주의(Behaviorism)에 대한 접근을 체계화하고 대중화 시켰다. 행동주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정신 과정이 아니라,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행동에 집중하는 심리학.
행동의 예측과 통제가 중심이다.
이후 1960년대에 행동 자료를 통해 다시 마음 속 정신과정이 어떤지를 연구하는 인지주의(Cognitiuism)가 생겼다.
심리학의 종류
1. 임상심리학
- 심리적인 문제를 지닌 사람들을 이해하고 돕는 것을 전문으로 한다.
- 어떤 사람에게 왜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고 알려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발달심리학
- 행동이 나이에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한다.
3. 인지심리학
- 인지는 사고와 지식의 과정을 연구한다.
- 사람이 어떻게 판단을 내리고,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고, 어떻게 사고를 언어로 변환하는지에 초점을 둔다.
4. 진화심리학
-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려는 경향이 왜 진화에 의해 선택되었는 지 등을 연구한다.
- 행동을 종의 진화 측면에서 설명하려는 분야이다.
5. 사회심리학
- 개인이 다른사람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집단이 개인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한다.
6. 학습심리학
- 행동이 어떻게 과거 행동의 결과 그리고 현재의 동기에 의존하는지 연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