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개발/프로그래머즈Lv2

[Programmers Lv2, Java] 롤케이크 자르기

KGW2027 2022. 11. 5. 15:49
728x90
반응형

철수는 롤케이크를 두 조각으로 잘라서 동생과 한 조각씩 나눠 먹으려고 합니다. 이 롤케이크에는 여러가지 토핑들이 일렬로 올려져 있습니다. 철수와 동생은 롤케이크를 공평하게 나눠먹으려 하는데, 그들은 롤케이크의 크기보다 롤케이크 위에 올려진 토핑들의 종류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그래서 잘린 조각들의 크기와 올려진 토핑의 개수에 상관없이 각 조각에 동일한 가짓수의 토핑이 올라가면 공평하게 롤케이크가 나누어진 것으로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롤케이크에 4가지 종류의 토핑이 올려져 있다고 합시다. 토핑들을 1, 2, 3, 4와 같이 번호로 표시했을 때, 케이크 위에 토핑들이 [1, 2, 1, 3, 1, 4, 1, 2] 순서로 올려져 있습니다. 만약 세 번째 토핑(1)과 네 번째 토핑(3) 사이를 자르면 롤케이크의 토핑은 [1, 2, 1], [3, 1, 4, 1, 2]로 나뉘게 됩니다. 철수가 [1, 2, 1]이 놓인 조각을, 동생이 [3, 1, 4, 1, 2]가 놓인 조각을 먹게 되면 철수는 두 가지 토핑(1, 2)을 맛볼 수 있지만, 동생은 네 가지 토핑(1, 2, 3, 4)을 맛볼 수 있으므로, 이는 공평하게 나누어진 것이 아닙니다. 만약 롤케이크의 네 번째 토핑(3)과 다섯 번째 토핑(1) 사이를 자르면 [1, 2, 1, 3], [1, 4, 1, 2]로 나뉘게 됩니다. 이 경우 철수는 세 가지 토핑(1, 2, 3)을, 동생도 세 가지 토핑(1, 2, 4)을 맛볼 수 있으므로, 이는 공평하게 나누어진 것입니다. 공평하게 롤케이크를 자르는 방법은 여러가지 일 수 있습니다. 위의 롤케이크를 [1, 2, 1, 3, 1], [4, 1, 2]으로 잘라도 공평하게 나뉩니다. 어떤 경우에는 롤케이크를 공평하게 나누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롤케이크에 올려진 토핑들의 번호를 저장한 정수 배열 topp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롤케이크를 공평하게 자르는 방법의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2265


1개씩 잘라가면서 나오는 모든 경우의수를 확인해야한다.

이 때, 찾는 경우의수는 잘라서 나온 두가지 그룹에 존재하는 토핑의 수가 같아야 한다는건데,

처음에는 철수와 동생에게 각각 토핑 종류와 수량을 매칭시키는 HashMap을 만들어서 문제를 풀었다.

 

합격은 합격했는데..

정확성 테스트 시간이 박살나버리는 바람에

해시맵이나 리스트를 가능한 최대한 빼고 어레이로 할 수 있도록 리팩토링을 진행했다.

 

먼저 typeMap 이라는 해시맵에 토핑 전체를 검사해서 종류와 종류별 개수를 등록한다.

그리고 토핑전체를 내림차순 정렬해서 가장 큰 숫자의 토핑숫자를 획득한 후,

그 크기를 바탕으로 동적크기배열을 할당해서 왼쪽부터 순서대로 자르면서 비교한 뒤,

처음 토핑 종류가 같아지는 순간부터, 다시 차이가 나는 순간까지 찾은 후 break;

그 위치의 차이를 반환하면 문제 해결이다.

이전 보다는 확실히 봐줄만한 속도가 됬다.

 

배열 할당을 그냥 new int[10000] 이렇게 때려버리면 큰 수를 찾는 정렬도 필요 없고 편하긴한데..

메모리 효율이 안좋아서 그렇게 하진 않았고

 

살짝 맘에 안드는거는 토핑 종류가 1, 2, 10000 이렇게 와버리면 종류는 3개인데 new int[10000]한거랑 차이가 없어서, typeMap을 구성할 때, topping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clone을 하나 만들고, 토핑key를 0부터 차례대로 커지게 다시 재배치 했으면 동적 배열 크기를 최적화할 수 있었다... 곤 생각하는데

 

귀찮아서 또 리팩토링 하지는 않을 것 같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