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공부/DIP

[중간고사] 1장 - 인지

KGW2027 2023. 3. 30. 22:43
728x90
반응형

가시광선이란 380nm ~ 780nm 파장대의 빛을 의미한다.

빛은 동공을 통과하고, 수정체를 지나서 망막에 상을 맺히게 하게 된다. (이 때, 상은 뒤집혀있다.)

이러한 상을 잘 인식하기 위해, 중심와에 많은 시각세포가 모여있으며, 그 살짝 옆에 시신경이 존재한다.
(시신경에는 시각세포가 존재하지 않는다.)
빛을 인식하는 세포는 막대세포와 원뿔세포가 있는데,
막대 세포는 망막 90~95%를 차지하며, 망막 주변부에 있다.
원뿔 세포는 망막 5~10%를 차지하며, 중심와에 존재한다.

 휘도 (Luminance) : Visual System이 광원으로 받는 에너지의 양.

베버의 법칙(Weber's Law)
 어떤 Object의 휘도는 그 주변(Surround)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여진다.

 

 

Mach band Effect (마하 밴드 효과) : 대비가 큰 두 색이 같이 있을 때 그 경계가 더 어둡거나 밝은 색으로 보이는 현상

 

블로흐 법칙 (Bloch's Law)
 : 지속시간은 다르지만, 에너지가 동일한 광 섬광은, 임계 지속시간 이하에서는 구분할 수 없다.
[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30msec, 어두울 때는 그 이상도 가능하다. ]

 

Critical Fusion Frequency (CFF)
 : 일정 속도 이상으로 깜박이는 빛은 동일한 평균 강도의 안정된 빛과 구분할 수 없다.
[ 보통 50Hz ~ 60Hz 이상의 속도에서 구분할 수 없다. ]

Spatial Versus Temporal Effects
 : 눈은 낮은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의 깜박임에 더 민감하다.

 

정량적 영상 화질 측정 기법
 - MSE : 평균 제곱 오차 -> N*M 해상도의 2개의 이미지에 대해, 각 픽셀의 차를 모두 제곱한 값의 평균
 - SNR : 신호 대비 잡음 -> 10 * log_10 ( 원본 이미지의 각 픽셀 값의 제곱 평균 / MSE )
 - PSNR : Peek-to-Peek SNR -> 10 * log_10 ( 최대 픽셀값 ^ 2 / MSE )

 

정성적 영상 화질 측정 기법
- Overall Goodness Scale : 훈련 세트를 기준으로 '불만족 - 보통 - 만족'에 대한 지표로 평가
- Group Goodness Scale : 일정 이미지를 그룹짓고 그 안에서 '안좋음 - 평균 - 좋음'등으로 평가

[잘못된 평가 기법]
- Impairment Scale : 객관적 기준 없이 주관적으로 좋고 나쁨을 평가함.

728x90
반응형